[김동률의 아포리즘] 나만 좋아서는 안 된다/서강대 교수(매체경영)
수정 2023-07-10 01:43
입력 2023-07-10 01:43
샤워도 않고 탕에 뛰어드는 사람
수건을 몇 장씩 쓰고 버리는 사람
삶의 질은 사유재 아닌 공공재에
함께 천민자본주의 벗는 노력을
결혼식도 아주 단출하게 했다. 여자대학 작은 강당에서 치른 식장 비용은 딱 오만원, 청소비가 전부였다. 결혼사진, 동영상 촬영도 없었다. 화환은 사절한다고 사전 고지했다. 덕분에 그 흔한 꽃다발 하나 없는 검박한 결혼식이었다. 짓궂은 친구들은 곧 헤어질 요량으로 그러느냐고 놀렸다. 그러나 불만은 없었다. 스스로 한국식 관혼상제의 허례허식을 고쳐야 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오래전 일이지만 결혼식은 우여곡절, 아주 힘들었다. 양가 부모들이 야단들이었다. 특히 나의 부모님은 폐백도 예단도 없는 결혼은 시킬 수 없다고 드러누웠다. 우여곡절 끝에 치러진 작은 결혼식은 그런대로 무사히 끝났다. 피로연은 교수식당에서 했으며 당시 가장 비싼 메뉴는 불고기 백반. 몇천원 정도 했던 것 같다. 소박한 결혼식 덕분에 신혼 셋집을 비교적 어렵지 않게 얻었으니 아쉬움은 없다.
나는 한국의 혼례 문화에 불만이 많다. 청혼부터 시작해 촬영, 신혼여행까지 허례의 극치를 보여 준다. 그래서 외신들이 앞다투어 한국인들의 결혼과 관련해 민망한 기사를 내보내고 있다. 최근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면에서 하루 숙박비가 1000달러에 가까운 고급 호텔에서 명품 가방과 장신구 등을 선물하는 게 한국의 청혼 트렌드가 됐다고 비꼬았다. 모건스탠리는 한국의 1인당 사치품 소비 규모가 전 세계에서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고 발표했다. 허례허식의 극치다.
실제 결혼식 행사도 문제가 많다. 친한 지인들의 경우 봉투만 전하기가 민망해 직접 가게 된다. 요즘 교통 사정으로 대부분 한나절 걸린다. 그렇게 어렵게 가서는 혼주에게 눈도장만 찍고 돌아온다. 엄청난 사회적 낭비인 셈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도 친구들의 결혼식에 열심히 다닌다. 어떤 날은 기울어진 운동장을 본다. 한쪽은 넘치는 하객들로 북적대는데 한쪽은 하객이 많지 않아 초라해 보이는 경우도 있다. 돌아오는 내내 그 풍경에 씁쓸하다. 그날 하루 마음이 편하지 않다.
이런 사회적인 낭비는 한국 사회가 해결해야 할 가장 중요한 과제다. 예전에는 그냥 혼자만 잘 살면 됐다. 그러나 지금은 초연결사회다. 삶의 질은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서 나온다. 동네 목욕탕에서도 느낀다. 샤워를 하지 않고 풍덩 탕으로 들어오는 사람, 옆에 누가 있어도 아무렇지 않게 폭포수를 이용하는 사람도 있다. 공공의 영역이 아주 불편해진다. 탈의실도 마찬가지. 여기저기 버려진 수건을 치우노라면 “언제 주인이 바뀌었냐”고 묻는 사람도 있다. 골프장도 비슷하다. 대충 닦고 버린 뒤 또 다른 수건을 이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래서 편한 지인들과 갈 때는 아주 단호하게 선언한다. 1인당 한 장만 사용하라고. 다들 독재자라고 놀리지만 나는 아랑곳하지 않는다.
이제 삶의 질은 과거처럼 나만 잘 살면 되는 사유재에 있는 것이 아니다. 산책길, 헬스장, 공원, 쇼핑센터 등등 오히려 공공재에 있다. 이런 공공재는 한 개인이 해결할 수 없다. 공동체가 다 같이 노력해야만 해결된다.
한국은 명실공히 세계 최고의 일류 선진국이다. 그러나 공공의 영역에서는 여전히 후진성을 면치 못하고 있다. 이런 후진성을 해결하지 않고는 품위 있는 삶은 어렵게 된다. 한국 사회가 한 단계 ‘점프업’하기 위해서는 지금의 천민자본주의에서 하루라도 빨리 벗어나 품격 있는 사회로 가야겠다. 나만 좋아서는 안 된다.
2023-07-10 27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