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라진 응급실’…설 연휴 경증 환자 1년새 44% 감소

한지은 기자
수정 2025-02-03 16:29
입력 2025-02-03 14:46
설 연휴 응급실 방문 환자 전년 대비 32.3%↓

올해 설 연휴 기간(1월 25일~2월 2일) 응급실을 찾은 경증 환자가 지난해 설 연휴 대비 약 44%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일각에선 1년 가까이 이어진 의정 갈등에 따른 의료진 번아웃(탈진)으로 ‘응급실 대란’이 벌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왔지만 큰 불상사나 혼란은 없었다. 수가(건강보험공단이 주는 돈) 인상으로 연휴에도 문을 연 병의원이 늘어 환자가 분산된 것으로 풀이된다.
3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설 연휴 기간 전국 응급의료기관 413곳을 방문한 환자는 하루 평균 2만 5041명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설 연휴(2월 9~12일) 3만 6996명보다 32.3% 줄어든 수치로, 설 연휴 직전 주말인 지난 19일(2만 5508명)과 비슷하다.
특히 한국형 중증도 분류체계(KTAS) 4~5등급에 해당하는 경증·비응급 환자가 크게 줄면서 전체 응급실 내원 환자 수를 끌어내렸다. 올해 설 연휴 응급실을 찾은 경증 환자는 1만 3270명으로 지난해 설 연휴(2만 3647명) 대비 43.8% 감소했다. 이번 설 연휴 전체 응급실 환자 중 경증 환자 비율(하루 평균)은 52.9%로 지난해 설 연휴(63.9%)와 지난해 추석 연휴(58.5%)와 비교해 각각 10.9%포인트, 5.5%포인트 줄었다.

문 여는 병원 늘리고 경증 환자 진료비 부담↑응급실을 찾은 경증 환자가 줄어든 건 연휴 기간 문 여는 의료기관이 늘었기 때문이다. 정부는 이번 설 연휴 동안 문을 여는 병의원과 약국에 수가를 기존 가산율(20%)의 3배인 60%까지 추가 지원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설 연휴(1월 31일 제외) 하루 평균 1만 7220곳의 의료기관이 문을 열었다. 지난해 설 연휴 대비 372.7%, 지난해 추석 연휴 대비 97.0% 증가한 수치다.
이경원 대한응급의학회 공보이사는 “기존에는 연휴 기간 문 여는 병원이 없으니 응급실에 온 경증 환자를 돌려보내기 어려웠다”며 “정부가 설 연휴 동안 3000~9000원 수가를 지원해주면서 문 여는 병의원이 늘었고, 이 덕에 환자가 분산될 수 있었다”고 했다.
여기에 정부가 경증 환자의 응급실 진료비 부담을 대폭 높인 것도 영향을 미쳤다. 복지부는 지난해 9월 경증 환자가 중환자 치료를 전담하는 대형 병원 응급실을 이용할 경우 건강보험의 본인부담률을 20%에서 90%까지 내도록 규정을 바꿨다. 총진료비가 100만원이 나왔다면 본인이 90만원을 내야 한다는 의미다.
다만 의정 갈등이 장기화하면서 남아있는 의료진의 번아웃과 인력 부족에 대한 우려가 크다. 연휴 기간 응급 의료 현장을 지킨 남궁인 이대목동병원 응급의학과 교수는 “당장 올해와 내년에 신규로 배출되는 응급의학과 전문의가 없다”며 “망가진 전문의 수련 시스템을 하루빨리 되돌려야 하므로 의정 갈등 해소가 곧 응급 의료 현장의 안정”이라고 했다.
세종 한지은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