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직 전공의 2.2%만 3월 복귀, 입영 특례에도… 의료공백 심화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한지은 기자
한지은 기자
수정 2025-01-21 06:19
입력 2025-01-21 00:44

상반기 레지던트 지원율 ‘저조’

1~4년 차 9220명 중 199명만 지원
2월 추가모집… 군 미필자 입영해야
이미지 확대
오는 3월 수련을 재개할 레지던트 모집 마감일인 19일 서울의 한 대학병원에서 의료진이 이동하고 있다. 2025.1.19 연합뉴스
오는 3월 수련을 재개할 레지던트 모집 마감일인 19일 서울의 한 대학병원에서 의료진이 이동하고 있다. 2025.1.19 연합뉴스


오는 3월부터 수련을 이어갈 상반기 전공의(레지던트) 모집 지원율이 2.2%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입영 특례를 적용받을 수 있는 사실상 마지막 기회에도 전공의들이 꿈쩍하지 않으면서 의료공백이 심화할 것으로 보인다.

20일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상반기 전공의 모집 원서 접수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3월 기준 사직(임용포기)한 레지던트 1~4년 차 9220명 중 199명(2.2%)이 지원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절반(98명)은 입영 특례 적용 대상자(의무사관후보생)다. 정부가 동일한 수련 특례를 적용했던 지난해 하반기 모집 지원율(1.6%)보다는 높지만 여전히 저조한 수치다.

전문의 진입을 앞둔 고연차로 갈수록 복귀율이 높았다. 레지던트 4년 차의 지원율은 4.9%였지만 1년 차는 0.6%에 불과했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에서 135명, 비수도권에서 64명 지원했다. 사직자 대비 복귀율은 수도권(2.3%)이 비수도권(1.9%)보다 약간 높았다. 각 수련병원은 면접(실기)시험 등을 거쳐 오는 23일 합격자를 발표한다.

앞서 정부는 지난 9일 의료계를 향한 사과와 함께 수련·입영 특례를 제시했다. 복귀한 전공의에겐 ‘사직 후 1년 내 동일 과목과 동일 연차로 복귀 제한’ 규정을 적용하지 않고, 병역 의무를 다하지 않은 전공의들의 경우 입영 시기를 수련 종료 후로 연기할 수 있게 했다. 군 미필 전공의는 이번에 복귀하지 않으면 오는 3월 입영하거나 입영을 기다려야 한다.



정부는 예년과 같이 2월 중 추가 모집을 실시할 계획이다. 복지부는 “2월 초 병무청에서 국방부로 입영 선발대상자를 통보하는 병무 일정상 2월 추가 모집에서 입영 특례는 적용이 곤란하다”고 말했다.

세종 한지은 기자
2025-01-21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1 / 5
1 / 3
광고삭제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