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파업 나흘째 열차 이용 불편 가중…하루 손실액만 7억원(종합)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박승기 기자
박승기 기자
수정 2024-12-08 15:52
입력 2024-12-08 15:52

주말과 휴일 수도권 전철 운행 축소로 불편 덜어
월요일 출근길부터 혼란 우려, 조기 출근 등 필요
노사 교섭 감감무소식에 파업 장기화 우려 고조

이미지 확대
전국철도노동조합의 무기합 파업 이틀째인 지난 6일 서울역 내 전광판에 운행이 중단된 열차 상황이 표시돼 있다. 뉴시스
전국철도노동조합의 무기합 파업 이틀째인 지난 6일 서울역 내 전광판에 운행이 중단된 열차 상황이 표시돼 있다. 뉴시스


전국철도노동조합(철도노조)의 총파업 나흘째인 8일 열차 운행이 축소되면서 이용객 불편과 물류 운송 차질이 이어지고 있다.

탄핵 정국과 맞물려 철도 노사가 교섭 일정조차 잡지 못하면서 파업 장기화 우려가 커지고 있다. 파업에 따른 영업손실이 하루 7억원에 달하는 등 피해액이 급증하는 상황이다. 오는 12일까지 내년 임금 협상이 마무리되어야 하는 데다, 15일 이상 파업이 이어지면 차량 정비 문제로 열차 대란이 현실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노사가 큰 부담을 안게 됐다.

코레일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이날 열차 운행률은 평상시의 77.7% 수준에 머물렀다. 열차별로는 KTX 77.0%, 여객열차(새마을호·무궁화호) 72.6%, 화물열차 35.0%, 수도권 전철 81.3%로 낮아졌다. 주말과 휴일에 수도권 전철은 평일 대비 83%만 운행돼 전체 열차 운행률이 소폭 상승했지만 9일 출근길부터 혼란이 우려된다. 파업 참가율은 출근 대상자 2만 7145명 중 7726명이 참여해 28.5%를 기록했다.

코레일은 KTX와 수도권 전철에 대체인력을 집중적으로 투입해 열차 운행률을 평시 대비 70.0%대로 유지하고 있으나 파업이 길어지면 대체인력 피로도 누적과 차량 정비 등으로 열차 운행이 축소될 수밖에 없어 열차 이용 불편은 더욱 커질 전망이다.

철도노조는 기본급 정액 인상과 임금 체불 해결, 성과급 지급률 개선, 부족 인력 충원, 4조 2교대 근무 전환 등을 요구하며 지난 5일 오전 9시부터 총파업에 돌입했다. 그러나 노조가 교섭 권한에서 벗어난 무리한 요구로 불확실성을 높이고 있다는 지적이다.

코레일 관계자는 “성과급 정상화와 인력 충원 등 쟁점에 대해 기획재정부와 국토교통부가 검토 의견을 밝힌 만큼 노조가 국민의 어려움을 고려해 파업을 철회하고 복귀해야 한다”면서 “2급 이상 간부의 임금을 2년 동결하라는 요구는 사측이 수용할 수 있는 사안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철도노조는 정부에 대한 압박 강도를 높이고 있다. 철도노조는 “파업의 원인은 임금 교섭 결렬이나 원인을 제공한 건 기재부와 국토부”라며 “코레일 뒤에 숨지 말고 기재부와 국토부가 책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은 이날 서울고용노동청에서 실·국장과 8개 지방청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노동상황 점검 주요 기관장 회의에서 철도 파업과 관련해 노사의 조속한 교섭 재개를 촉구했다. 김 장관은 “철도노조 파업이 4일 차에 접어들면서 국민의 불편이 누적되고 안전사고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며 “노사가 조속히 교섭을 재개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노력해 달라”고 당부했다.

대전 박승기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120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