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국가공무원 6396명 공채 선발… 데이터직 첫 채용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이은주 기자
이은주 기자
수정 2022-12-19 00:05
입력 2022-12-18 20:14

안전·민생 현장 지원 인력 중심
빅데이터 분석·활용 35명 뽑아

2023년도 국가공무원 공채시험 선발인원이 6396명으로 확정됐다. 디지털플랫폼정부 구현을 위해 데이터직 공무원 공개채용이 최초로 실시된다. 인사혁신처는 18일 이 같은 내용의 내년도 공채 선발 계획을 사이버국가고시센터에 공개했다. 내년 선발인원은 최근 5개년(2018~2022년) 평균인 6395명과 유사한 수준으로 기관별 퇴직인원과 대국민 행정서비스 제공 수요 등을 고려해 결정됐다. 직급별로는 9급 5326명, 7급 720명, 5급 305명을 각각 선발하며 외교관 후보자는 45명을 뽑을 예정이다.

국민 안전 보장, 민생 현장을 지원할 현장 인력을 중점적으로 채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선발 분야별로 보면 교정직 1009명, 보호직 216명, 경찰청 일반직 공무원 455명, 우정사업본부 752명 등이 있다.

데이터직은 5급 4명, 7급 17명, 9급 14명 등 총 35명을 뽑는다. 인사처는 “데이터직 공무원은 새로운 행정 수요에 정부가 과학적,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빅데이터 분석·활용 등 각종 데이터 행정 업무를 수행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장애인은 법정 의무고용비율(3.6%)의 2배가 넘는 342명(7.3%)을, 저소득층은 9급 선발인원의 법정 의무비율(2%)을 초과한 151명(2.8%)을 각각 채용할 예정이다.

또한 5·7급 공채의 경우 한국사 과목을 대체하는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의 성적 인정 기간이 폐지된다. 이미 기준 등급 이상의 한국사시험 성적을 취득하고 있는 수험생은 취득 시기와 상관없이 유효하게 인정받을 수 있다. 시험·직렬별 응시 자격, 시험 과목 등 최종 세부 내용은 다음달 공고된다.



이은주 기자
2022-12-19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