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연구 발자취 따라… 집현전 학사 기리는 은평[현장 행정]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임태환 기자
임태환 기자
수정 2024-10-08 23:50
입력 2024-10-08 23:50

김미경 구청장 진관사 추모재 참석

학사들 공부 전념 ‘사가독서제’ 운영
훈민정음·용비어천가 저술 등 참여
박팽년 등 학사 6인 후손들과 기념
전용 글꼴 ‘사가독서체’도 개발 중
이미지 확대
지난 4일 진관사에서 열린 ‘집현전 학사 추모재’를 찾은 김미경(가운데) 서울 은평구청장이 합장하고 있다. 은평구 제공
지난 4일 진관사에서 열린 ‘집현전 학사 추모재’를 찾은 김미경(가운데) 서울 은평구청장이 합장하고 있다.
은평구 제공


“진관사는 세종대왕의 한글 창제를 위한 비밀기지입니다. 이곳에서 한글 연구에 힘써 온 학사들의 업적을 기리고 소중한 우리 문화를 보호하는 데 은평구가 앞장서겠습니다.”

김미경 서울 은평구청장이 한글의 우수성을 기리는 ‘한글날’을 앞두고 지난 4일 진관사에서 열린 ‘집현전 학사 추모재’에서 집현전 학사 6인(박팽년·성삼문·신숙주·이개·이석형·하위지)의 후손과 만나 이들의 선조를 기념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날 행사에는 김 구청장을 비롯해 진관사 주지스님, 김용관 진관사 사가독서기념관 건립 추진위원장과 집현전 학사 후손 등 50여명이 참석했다.

세종대왕은 1420년 자문 및 연구기관인 집현전을 만들고 1426년 12월 사가독서 제도를 운영했다. 사가독서는 집현전 학사들이 잠시 직무를 내려놓고 공부에만 전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당시 사가독서당으로 지정된 진관사에 모인 젊은 학사 6인이 머리를 맞대고 쉼 없이 공부한 결과 1443년 훈민정음이 만들어졌다. 이후 1444년부터 박팽년·성삼문·신숙주·이개 등 4인은 훈민정음을 실험하려는 서적 ‘용비어천가’ 저술에 참여했다. 1446년에는 훈민정음해례 저술에, 1448년에는 동국정운 저술에 참여했다.

이날 집현전 학사 6인의 후손을 대표해 인사말을 한 이개의 후손 이임구씨는 “이번 추모재는 진관사 사가독서가 열린 지 582년 만에 진행된 뜻깊은 행사”라며 “집현전 학사들의 업적을 되새기면서 지역이 빛날 수 있도록 후손들도 계속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 구청장은 “우리가 한글이란 소중한 문자를 누릴 수 있는 것은 집현전 학사들의 보이지 않는 노력 덕분이다. 훈민정음 편찬에 참여한 학사들의 정신을 잊지 않고자 은평구는 전용 글꼴인 ‘사가독서체’를 개발 중”이라며 “이들의 애민 정신을 본받아 구민을 사랑하고 구민이 행복한 사회를 만드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다짐했다.

임태환 기자
2024-10-09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120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