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달제품에 ‘임차’ 방식 도입…혁신제품 실증 기회 확대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박승기 기자
박승기 기자
수정 2025-03-17 15:56
입력 2025-03-17 15:56

고가 장비와 제품 사용 부담 완화 및 검증 강화
다수 기관 일정 기간 사용으로 데이터 ‘다양화’

이미지 확대
복약 관리 기능이 포함된 인공지능(AI) 스마트워치 및 이를 활용한 원격 환자  모니터링 솔루션. 조달청
복약 관리 기능이 포함된 인공지능(AI) 스마트워치 및 이를 활용한 원격 환자 모니터링 솔루션. 조달청


정부가 혁신제품 실증 기회 확대를 위해 구매가 아닌 ‘임차’ 방식을 도입한다. 장비와 제품을 개발했으나 고가로 활용이 어려운 점을 완화하는 동시에 여러 기관이 사용해 정확한 검증 데이터를 생산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조달청은 17일 올해 신규 도입한 임차 시범 제품 27개와 기관 58개를 확정 발표했다. 임차 제품은 고가이거나 다기관 시범이 필요한 제품과 유지관리 부담이 뒤따라 직접 구매 방식으로 시범 사용에 부담이 컸던 제품 등이다. 올해 임차 예산은 24억원이다.

그동안 제품 가격이 높아 구매가 어려웠던 ‘곤충특화 스마트 팩토리(곤충 배양기)’와 다양한 기관 및 환경에서 시범 사용이 필요한 ‘3D 홀로그램 터치 비전’, 일정 기간 유지관리가 필요한 ‘사물인터넷(IoT) 스마트 공공자산관리 시스템’ 등이 선정됐다.

조달청 관계자는 “10억원에 달하는 장비를 10개 기관이 1억원씩 분담해 일정 기간 사용하며 평가하는 임대 방식”이라고 소개했다.

임차 시범 시행으로 고가 장비 구매 및 유지관리 비용 부담 등을 해소하는 한편 혁신 제품의 성능 향상을 촉진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조달청은 4월 임차 시범 분야 수요를 조사해 추가 시행할 계획으로 전해졌다.강희훈 조달청 신성장조달기획관은 “임차는 구매 지원 방식과 비교해 초기 비용을 낮춰 사용 제품과 기관을 확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면서 “차별화된 구매 방식을 통해 다양한 수요 환경에 대응하고 혁신기업의 기술 개발 및 성장을 뒷받침하는 혁신 지향의 공공 조달 환경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대전 박승기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