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숫자로 읽는 세상]밀레니얼세대 절반은 수도권 산다…모든 세대 중 최고 비중

강동용 기자
수정 2024-08-21 16:00
입력 2024-08-21 16:00
통계청 통계개발원, 통계플러스 봄호
‘세대별 사회안전 및 환경의식’ 보고서

밀레니얼(M)세대(1980~1994년생·25~40세)의 수도권 거주 비율이 절반을 넘겨 전 세대를 통틀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M세대와 Z세대(1995~2005년생)를 아우르는 MZ세대가 다른 세대에 비해 환경에 대한 감수성이 높았는데요. 아이러니하게도 실제 환경오염을 줄이기 위한 노력은 적었습니다.
21일 통계청 통계개발원의 통계플러스 봄호에 실린 ‘세대별 사회안전 및 환경의식’ 보고서에 따르면 MZ세대는 2020년 11월 1일 기준 총 1629만 9000명으로 총인구의 32.5%를 차지했습니다.

M세대가 1033만명(20.6%)으로 X세대(1964~1979년생) 1307만 1000명(26.1%) 다음으로 많았습니다. Z세대는 596만 9000명(11.9%)이었습니다. 세대별로 수도권 거주 비중을 보면 M세대는 54.9%, Z세대는 50.2%였습니다. MZ세대의 절반 이상이 수도권에 사는 셈입니다. X세대의 수도권 거주 비중은 50.8%에 그쳐 X세대가 모든 세대 중 수도권 거주 비중이 가장 높았습니다.
한편 MZ세대는 기성세대보다 환경 문제에 민감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하지만 환경을 보호하려는 노력은 적었습니다. 기후변화에 대한 불안감을 묻는 말에 M세대의 47.8%가 불안하다고 답해 X세대(50.8%) 다음으로 높았습니다. 베이비붐세대(1955~1963년생)는 46.1%, Z세대는 42.6%, 시니어세대(1954년 이전 출생)는 38.0%가 불안하다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환경 보호를 위한 노력은 의외의 결과가 나왔습니다. 음식물 쓰레기를 줄이기 위해 노력한다는 답은 베이비붐세대(91.8%), 시니어세대(90.7%), X세대(88.3%) 순으로 높았습니다. Z세대는 77.3%, M세대는 81.9%에 그쳤습니다. 일회용품을 사용하지 않기 위해 노력한다는 비율도 베이비붐세대(81.5%), 시니어세대(79.7%), X세대(77.3%), M세대(68.3%), Z세대(64.9%) 순이었습니다.
연구자들은 “MZ세대가 다른 세대에 비해 미혼 인구의 비중이 높고 소득수준은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세종 강동용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