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 배우에게 옷 수백벌 갈아입히고
카메라 꺼진 뒤 1시간 넘게 정리
주52시간도 4대 보험도 남의 일
근로계약 현장인력 20%도 안 돼

박지환 기자
넷플릭스 오리지널 콘텐츠인 ‘오징어 게임’, ‘지옥’, ‘지금 우리 학교는’ 등의 잇단 흥행으로 K드라마의 위상은 ‘한국 속 세계’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높아졌다. 업계에서는 올 한 해 드라마 제작 편수가 역대 최대치가 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그러나 카메라 너머 현장은 여전히 척박한 일터다.
서울신문이 희망연대노조 방송스태프지부·전국영화산업노조와 함께 지난 8일부터 일주일간 드라마 제작 스태프 205명을 상대로 설문을 진행한 결과 전체 응답자의 84.9%(174명)가 ‘장시간 노동’이 가장 큰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들 중 드라마 제작사와 근로계약을 체결한 비율은 30.2%에 그쳤다. 특히 편집 등 후반 작업자를 제외한 현장 인력만 따져 보면 19.5%에 불과했다.
방송사나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등으로부터 외주를 받아 드라마를 만드는 제작사는 현장 감독의 지시에 따라 일하는 스태프들에게 “근로자가 아니지 않으냐”고 말한다. 주 52시간제 근무와 4대 보험 가입은 이들에게 딴 세상 얘기다. 일을 하다 크게 다쳐도 산재 처리는커녕 드라마 흥행에 누가 될까 ‘쉬쉬’ 하며 넘어가는 일이 다반사다. “우린 다칠 바에 죽는 게 낫다”는 자조 섞인 목소리가 나오는 이유다.
국내 제작사에 외주를 맡기는 넷플릭스나 디즈니플러스 등 글로벌 OTT 오리지널 드라마의 제작 현장도 크게 다르지 않다. 김기영 희망연대노조 지부장은 “해외 OTT에서 많은 제작비를 투자한다곤 하지만 그게 곧 스태프의 처우 개선으로 이어지지 않는 게 현실”이라고 지적했다. 서울신문은 화려함에 가려진 K드라마 제작 환경의 노동 실태와 개선 방안을 3회에 걸쳐 짚는다.
특별기획팀
최훈진 기자
김주연 기자
민나리 기자
2022-02-24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