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일각서 ‘디올 베끼기’ 논란…디자인의 영감, 어디서 올까 [클로저]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강민혜 기자
수정 2022-07-30 23:49
입력 2022-07-30 21:47
디자이너, 전통 참고하며 디자인하면 안 되나
이미지 확대
중국 바이두 캡처.
중국 바이두 캡처.
“고서를 많이 봐요. 조상들이 해둔 자료에 상세하게 디자인이 적혀 있거든요. 물론 이해하기까지 공부를 많이 해야 하지만 다 필요한 작업이죠.” (전통의복 D사 대표, 기자와의 인터뷰)

“새로운 걸 제시해야 했어요. 오래 전 형제와의 추억을 떠올렸죠. 경계가 없어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역사 속 무늬를 찾아 영감을 받았죠.” (명품 D사 크리에이티브 디자이너, 브랜드 스토리북)

일부 중국인들이 자신들의 전통 의상을 프랑스 명품 브랜드 디올서 복제했다며 지난 23일 프랑스 파리에서 시위를 벌였습니다. 앞선 클로저 코너를 통해 일부 중국인의 디올 관련 의견을 전한 바 있죠.

디자이너가 전통을 공부해 의상을 제작하는 것, 도덕적으로 올바르지 않은 일일까요. 일부 중국인들의 주장처럼 디올이 실제로 이들의 전통의복을 참고했다는 증거는 없습니다. 중국 내에서도 억지 주장이란 지적이 나오고 있죠. 또한, 디자이너가 전통을 참고해 공부했다는 사실 자체가 있었다고 하더라도 이를 마냥 지적하는 것은 다소 무리가 있습니다.

● 전통에서 공부
디자이너의 업무
한 업체를 취재하던 때의 일입니다. 국내 유명 아이돌이 입어 화제였던 전통의복 업체 대표는 디자인의 영감으로 고서를 꼽았죠. 디자이너들이 옛 전통에서 디자인을 가져오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입니다. 영감을 얻어 새로운 전통을 이어나가는 것은 어느 업계든 있는 이야기이기 때문입니다. 관건은 차별화입니다. 자신만의 영감을 불어넣어 새로운 라인을 창조해야 하기 때문에 디자이너들이 매번 새로운 컬렉션을 준비하며 고뇌하는 거겠죠.

오뜨꾸뛰르의 정의를 보면 이해가 좀 쉽습니다. 아주 숙력된 장인이 정교한 수작업을 통해 만들어내는 개인 맞춤 여성복이라는 의미인데요. 패션을 공부할 때 이 라인은 고가 라인이며 과거의 패턴 디자인을 많이 참고, 이를 발전시키는 것이 관건입니다. 고객들에게 개인 맞춤형 의상을 제작했던 전통이 있으므로 모든 오뜨꾸뛰르 작품이 다품종 소량생산이었기에, 창의성의 산물로 남아있죠.
이미지 확대
국내에서도 디자인의 근원에 관한 다양한 주장이 나왔던 디올의 2022 가을·겨울 컬렉션. 강민혜 기자
국내에서도 디자인의 근원에 관한 다양한 주장이 나왔던 디올의 2022 가을·겨울 컬렉션. 강민혜 기자
● 전통 기반으로
자신의 창의성 구현
이러한 전통 덕에 오늘날 오뜨꾸뛰르는 대개 브랜드의 정체성을 상징하는 의상을 칭할 때 붙입니다. 브랜드의 상징이 될 만한 작품을 만들고 이를 얼마나 잘 구현했는지, 시장에 어떤 메시지를 던지는지가 관건이 됩니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 말하듯 패션쇼에는 다소 이해하기 어려운 형태의 디자인이 나오기도 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영감을 공유한 이후 대중에겐 간결화된 디자인으로 퍼지는 것이, 지금까지의 패션 시장의 상황입니다.

그렇다면 고서를 보거나 과거의 자료를 보는 것은 왜 필요할까요. 패션에도 엄격한 고증이 필요할 때가 있기 때문입니다. 업계에 따르면, 한복에서 모티브를 받았다면 엄격하게 지켜야 하는 요소들이 있습니다. 여기에서 많이 벗어난다면 전통성을 침해한다는 일각의 비판을 받기도 하죠. 실제 국내서 1020세대를 중심으로 한복을 다시 입는 것이 유행하면서 개량된 한복의 정의에 대해 업계의 토론이 일어난 적도 있습니다. 이처럼 전통은 민감한 문제입니다.

● 디올의 ‘큰 손’, 중국그렇다면 일부 중국인들은 왜 이 예민한 전통 문제와 디올을 엮어 비판하고 있는 걸까요.

중국은 세계 명품 시장의 큰 손입니다. 중국 현지 명품 전문 매체는 “중국 시장은 디올에게 돈벌이가 되는 시장”이라며 “디올은 중국 시장을 공략하는 데 어떤 명품 브랜드보다 적극적이다”라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디올은 중국 소비자들의 구미를 맞추기 위해 현지 맞춤 디올백 로고 각인 서비스, 결제 시스템을 구비하는 등 상당한 공을 들였습니다. 이 덕분에 코로나19 이후 매출은 직전년도 대비 12% 올랐죠. 

중국 소비자들은 자신들이 디올의 큰 손이라는 점을 아주 잘 알고 있습니다. 디올이 중국에 꼬리내린 적도 많죠. 이번에도 디올은 논란이 된 디자인은 디올 중국 홈페이지에서 내리는 등 급한 불 끄기에 나섰습니다. 시위 이후 일부 중국인들의 의견은 어떻게 전개될지, 디올의 중국 시장 장악력은 여전할지 주목됩니다. 
이미지 확대
서울 영등포구 디올 매장. 강민혜 기자
서울 영등포구 디올 매장. 강민혜 기자


강민혜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120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