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종 빼돌려 을사늑약 체결 막아라” 19
류지영 기자
수정 2018-10-17 18:29
입력 2018-10-17 18:02
서울신문 발굴 해외소설 ‘황제 납치 프로젝트’
서울신문은 대한제국 독립운동가의 활약을 소재로 한 해외소설 두 편을 찾았습니다. 글쓴이는 미국의 저널리스트 겸 시나리오 작가 로버트 웰스 리치(1879~1942)이고, 두 소설의 주인공은 대한매일신보를 창간해 우리 민족 항일의식을 고취한 어니스트 토머스 베델(1872~1909)입니다. 100여년 전 발간된 이 소설에는 베델뿐 아니라 조선통감부 초대 통감 이토 히로부미(1841~1909), 을사늑약 직후 자결한 충신 민영환(1861~1905) 등 역사적 인물이 대거 등장합니다. 작가가 직접 조선과 일본에 머물려 취재해 쓴 이들 소설에는 고종의 해외 망명 시도 등 극비 내용도 담겨 있어 관심을 모읍니다. 대한제국이 배경인 거의 유일한 해외 소설이어서 사료적 가치도 큽니다. 서울신문은 먼저 ‘황제 납치 프로젝트’(1912년 출간·원제 The cat and the king)를 연재 형태로 소개합니다.lt;19회>
“저 노인네(고종)가 좋아하든 싫어하든 우리는 반드시 요트 있는 곳으로 가야 합니다. 지금 우리가 이 황제 하나를 살리자고 이러는 겁니까? 이 자가 한반도를 이토(이토 히로부미)에게 넘긴 뒤 일본군에게 유린당할 조선인들을 생각해야죠. 어서 왕을 중국으로 데려갑시다.”
베델이 조선 황제를 자신의 말에 태우려고 손을 뻗자 민영환 대감이 허리가 차고 있던 긴 칼을 꺼냈다. 그는 조용하지만 위협적인 어조로 베델에게 말했다.
“가만히 계시오. 당신이 우리 통치자를 강제로 망명시키려고 터럭 하나에라도 손을 대면 나는 그 자리에서 당신을 죽일 수도 있소. 기다리시오. 내가 다시 한 번 설득해 보겠소.”
베델의 얼굴에 실망감이 가득했다. 이렇게 몇 분이 더 흘렀다. 민 대감이 계속 황제를 채근했지만 소용이 없었다. 상황을 지켜보던 소녀가 말을 움직여 내 옆으로 다가왔다. 나는 어둠 속에서 그녀에게 손을 내밀어 어깨를 감싸 안았다. 그녀가 힘없이 내 어깨에 머리를 기대고는 모든 것이 끝났다고 생각해서인지 소리나지 않게 흐느꼈다. 소녀의 몸이 점점 크게 흔들렸다.
민 대감이 찹착한 표정으로 우리에게 선언했다.
“안타깝지만 모든 것이 끝났소. 여러분 마음은 잘 알지만 난 황제의 신하요. 서울로 돌아가시겠다는 폐하의 뜻이 확고부동하니 왕을 모시고 돌아가겠소.“
“그러죠. 우리 모두 그렇게 합니다. 일본군에게 잡혀서 죽든지 아님 운 좋게 살아남든지 어떻게든 되겠죠.”
그러자 소녀가 항의하듯 답했다.
“아뇨. 저는 상하이로 가겠어요. 일본군이 무서워서 떠나는 건 아니에요. 하기와라(당시 일본 공사관원으로 훗날 외무성 통상국장이 되는 하기와라 슈이치)의 그 비열한 웃음을 다시는 듣고 싶지 않아서요. 그에게 굴욕을 당하느니 차라리 죽어 버리는 것이 나아요.제 마음을 이해해 주시겠죠...”
내가 얼떨결에 말했다.
”하지만 당신은 요트가 어디 있는지도 모르잖아요. 여기서부터 5㎞나 떨어진 곳이에요. 이 밤에 혼자서 거길 가는 것은 너무 위험해요.“
그녀가 손으로 눈물을 닦으며 말했다.
”괜찮아요. 저 혼자서 해내겠습니다. 그동안 고마웠습니다.“
내 머릿속에 소용돌이가 일어났다. 나는 심장이 너무 쿵쾅거려 숨을 쉴 수가 없었다. 소녀와 친구(베델) 가운데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 때가 온 것이다. 나는 말에서 내려 베델에게 갔다. 그의 귀에 대로 더듬거리며 말했다.
“이보게 친구, 당신은 날 이해해줬으면 해. 나를 비겁하다고 생각하지 않았으면 해서 말야...”
베델은 내가 무슨 말을 하려는지 다 안다는 듯 미소지으며 대답했다.
“오! 이 사람...내 오랜 친구...”
베델이 내 손을 움켜쥐며 속삭였다.
“갈 길을 잃은 저 아름다운 여성에게는 내 친구처럼 젊고 예의바른 신사가 필요하지. 소녀 옆에 있어주는 게 지금 자네가 할 수 있는 최선이기도 해. 내가 전에 말했듯 우린 언젠가 상하이의 멋진 바에서 신나는 음악을 들으며 오늘 일을 웃으며 회상할 수 있을거야. 자네에게 신의 가호가 있기를. 어서 가시게.”
자정쯤 됐을까. 소녀는 요트를 탄 뒤 줄곧 내 옆에 있었다. 요트는 아무 빛도 없는 한강을 전속력으로 달려 황해 바다로 미끄러져 갔다. 나는 그녀의 손을 잡았다. 소녀의 팔을 내 쪽으로 끌어당겼다. 그녀는 조선을 떠나는 내내 흐느꼈다. 그녀가 슬픈 눈을 들어 나를 바라봤다. 내가 소녀에게 오래도록 눈을 맞추며 말했다.
“내가 당신의 실패를 공유할 수 있다면, 그리고 언제라도 옆에서 당신을 도울 수 있다면, 또 다시 실패해도 그 또한 내 인생의 큰 보람이 될 거에요.”
그 말을 듣자 그녀가 갑자기 흐느낌을 멈췄다. 어깨를 돌려세우더니 이번에는 미친사람처럼 큰 소리로 마구 웃기 시작했다.
“깔깔깔깔깔깔...검은 고양이...그깟 고양이 한 마리 때문에 한 나라가 망하게 내버려 둬야 하다니...낄낄낄”
‘황제 납치 프로젝트’는 20회로 이어집니다.
번역 류지영 기자 superryu@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