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차별 드러낸 일본의 코로나 대응...희생양 삼아”...日거주자들 분노 [김태균의 J로그]
김태균 기자
수정 2022-09-03 10:35
입력 2022-09-03 08:17
美작가 ‘日정부 코로나 대책에 외국인들이 느끼는 불만’ 기고
“많은 사람들이 당국의 조치들이 외국인을 표적으로 한다고 느껴”
“영어는 일어보다 감염에 취약” 등 ’가짜과학‘ 유언비어 확산도

로이터 연합뉴스
일본에서 활동하는 미국인이 코로나19 사태 이후 2년 반 동안 실시돼 온 일본 정부의 대응에 대한 외국인들의 비판적 목소리들을 모아 유력 경제주간지에 게재했다.
3일 주간지 도요케이자이(東洋經濟)에 따르면 미국인 바예 맥닐은 지난달 자신의 칼럼 코너에 ‘일본의 코로나19 대책에 외국인이 느끼는 의외의 불만’이라는 제목의 글을 올렸다. 칼럼에는 ‘(일본 정부의 대책에는) 어딘지 외국인을 비난하는 요소가 담겼다’란 부제가 붙었다.
맥닐은 2004년부터 일본을 기반으로 활동하면서 워싱턴포스트, 재팬타임스, 도요케이자이 등에 다양한 일본 관련 글을 싣고 있다.
그는 “바이러스는 사람들을 구분하지 않고 무차별로 퍼지는데도 일본 당국의 엄격한 조치가 자주 외국인을 표적으로 하고 있다고 느낀다”며 “이는 일본내 외국인 커뮤니티의 많은 사람들이 비슷하게 여기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페이크(가짜) 과학도 나돌고 있다. 영어는 말할 때 일본어보다 호흡량이 많아서 바이러스가 퍼지기 쉽다, 외국인은 말할 때 침을 많이 튀기므로 감염 전파 위험이 높다는 따위의 얘기들이다.”
그는 “이러한 유언비어를 TV에서 본 사람은 그냥 믿어 버리게 된다”며 “실제로 거리를 걷다 보면 외국인이라며 나에게 심술궂게 대하는 일본인들이 있다”고 전했다. “솔직히 내가 백인 여성이이어서 호감을 보이는 일본인이 많은데도 이런 판국이니 여타 인종의 외국인들이 어떤 취급을 받을지는 능히 상상할 수 있다”고도 했다.

“일본은 감염자가 적다고 해외 언론으로부터 찬사를 받았다. 마스크 착용은 ‘일본다움’의 상징으로 꼽히기도 했다. 하지만 마스크 외에 어떤 대책이 이뤄졌나. 술과 술집들이 비난받고 풍속업소들이 비난받고, 또 (우리와 같은) 외국인들이 비난받는 것을 보았을 뿐이다. 어느 쪽이든 다 희생양으로 활용됐던 것이다.”
그는 “일본에서는 코로나19를 동화에 나오는 괴물로 만들어냈다”고 비유했다.
“정치인들은 ‘우리들(일본인)은 매우 양질의 사람들이고 청결해서 마스크를 쓰기 때문에 괴물은 오지 않는다’라는 식으로 국민들에게 말한다. 여기에 일본인의 문화 수준이 높다는 언급도 추가된다. 이렇게 일본인의 우수성이 강조되다 보면 결국에는 ‘외국인 공포증’이 끼어들게 된다.”

로이터 연합뉴스
“많은 일본인이 (정부 방침에 따라) 회사에서는 당연히 마스크를 쓰고 있지만, 이후에는 친구들끼리 비좁은 공간에 빽빽히 모여 밤새 술을 마시며 큰소리로 웃고 떠든다.”
그는 “이도 저도 아닌 애매한 대책이 일본 정부가 취할 유일한 방책인 듯 하지만 그러한 대책은 불가피한 사태를 조금 지연시킬 수 있을 뿐”이라면서 “이상한 정책을 어정쩡하게 취해 봐야 아무런 성과도 안 나온다”고 말했다.
김태균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