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어폰 1시간 들으면 ○분 쉬어라”…‘오감의 적’ 난청, 적절한 예방법은?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문경근 기자
문경근 기자
수정 2025-02-21 08:00
입력 2025-02-21 08:00
이미지 확대
소음성 난청 이미지. 아이클릭아트
소음성 난청 이미지. 아이클릭아트


소음성 난청을 겪고 있는 젊은 환자도 증가하고 있다. 청각 질환은 노화와 함께 찾아오는 것으로 전해졌지만, 각종 소음이 심한 현대사회에서는 나이에 상관 없이 겪는 질환으로 자리 잡았다.

이는 과도한 스트레스와 이어폰 등 음향기기 사용이 원인으로 지목된다. 이런 증상을 예방할 수 있는 올바른 생활 습관에 대해 알아보자.

최근 대한이과학회의 자료에 따르면 국내 난청 인구는 2026년 300만명, 2050년에는 700만명에 이를 것으로 추산한다.

특히 야구장이나 콘서트장, 공사장 등에서 과도한 소음에 노출되면 청력과 관련된 다양한 증상이 일시적으로, 장기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윙윙’, ‘삐’ 귀속 소리에 이어 먹먹함, 실제 소리보다 약하게 들리는 현상 등이 대표적이다. 이를 일시적인 증상으로 가볍게 생각하다 치료 시기를 놓치면 영구적으로 청력을 잃을 수 있다.

WHO(세계보건기구)에 따르면 소음성 난청 예방을 위해서는 이어폰은 60분 이상 듣지 않는 것을 권장한다. 다만 이어폰을 60분 이상 사용할 경우 10분 이상 귀에 쉬는 시간을 주는 것이 좋다고 했다. 또 볼륨은 60% 이하로 설정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또 소음 노출을 피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적합한 ‘청력보호구’를 활용해 귀에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소음을 최대한 줄일 것을 당부했다.

이렇듯 가능한 경우 소음에 노출되는 시간을 줄이고, 소음에 일정 시간 노출된 후에는 조용한 곳에서 귀를 쉬게 하는 게 중요하다.



그런데도 귀에 먹먹함, 이명, 일시적 청력 손실 등의 증상이 이어지면 이른 시일 내에 가까운 이비인후과를 방문해 전문의과 상담해야 한다.

문경근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1 / 5
1 / 3
광고삭제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