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에 달린 ‘입’ 쩍 갈라지는 괴기 생물체…1억년 전 살았다는데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김성은 기자
김성은 기자
수정 2025-03-28 22:02
입력 2025-03-28 21:19
이미지 확대
시레노베틸루스 카리브디스는 9900만년 전 지구에 서식했던 고대 말벌이다. 중국 베이징 수도사범대학 치옹 우
시레노베틸루스 카리브디스는 9900만년 전 지구에 서식했던 고대 말벌이다. 중국 베이징 수도사범대학 치옹 우


약 1억년 전에 살았던 기생말벌의 화석에서 현존하는 어떤 곤충에게서도 볼 수 없는 독특한 포획 구조가 발견됐다. 이 말벌은 복부 끝에 파리지옥처럼 열렸다 닫히는 입 같은 구조가 발견됐는데, 다른 곤충을 잡아 자신의 알을 주입하는 데 사용됐을 것으로 추측됐다.

‘시레노베틸루스 카리브디스’라는 이름이 붙여진 이 멸종된 종과 관련한 연구 결과는 27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BMC 바이올로지’에 발표됐다. 중국 수도사범대학과 덴마크 자연사박물관 연구진은 미얀마에서 발견된 9900만년 된 호박 속에 보존된 16마리의 작은 말벌 표본을 연구했다.

덴마크 코펜하겐 자연사 박물관의 말벌 전문가이자 큐레이터인 라스 빌헬름센 연구원은 “처음 표본을 봤을 때 복부 끝의 이 확장된 부분이 공기 방울일 거라고 생각했다”며 “호박 속 표본 주변에서 공기 방울을 자주 볼 수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그는 더 많은 표본을 살펴본 후 이것이 곤충의 일부라는 것을 깨달았다고 한다.

연구진은 이 구조가 움직일 수 있었다고 판단했다. “우리가 ‘하단 플랩’이라고 부르는 이것은 때로는 열려 있고, 때로는 닫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고 빌헬름센 연구원은 설명했다. 분명히 움직일 수 있는 구조였으며, 무언가를 잡는 데 사용되었을 것이란 추측이다.

이미지 확대
화석 표본의 복부 끝에서 발견된 독특한 포획 구조.치옹 우
화석 표본의 복부 끝에서 발견된 독특한 포획 구조.치옹 우


현존하는 가장 비슷한 구조를 가진 생물체로는 파리지옥이라는 식충 식물을 제시했다. 이 식물은 먹이가 안으로 날아들면 접히는 잎을 가지고 있다.

빌헬름센 연구원은 “약 1억년 전에 죽은 곤충이 어떻게 살았는지 알 수 있는 방법은 없다. 그래서 현대 곤충에서 유사점을 찾아봤지만, 유사한 것이 없었다”며 “동물계를 완전히 벗어나 식물계에서 그나마 비슷한 것을 찾아야 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연구자들은 이 말벌이 기묘한 복부 구조로 다른 생물을 잡아 죽이진 않았을 것으로 추론했다. 대신 말벌이 포획한 곤충의 몸에 알을 주입한 뒤 다시 풀어줘서 무의식적인 숙주로 활용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한다. 연구팀은 이 숙주가 말벌과 비슷한 크기의 날아다니는 곤충이었을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시레노베틸루스 카리브디스가 들어 있는 호박은 화석 애호가가 몇 년 전 사들여 기증한 것으로, 이 호박은 중국과의 국경 근처 미얀마의 카친 지역에서 왔다고 저자들은 밝혔다.

뉴저지 공과대학의 필 바든 부교수는 “이 말벌은 오늘날 살아있는 생물체의 한계를 벗어나 당시 환경에 적응한 곤충”이라며 “현재까지 알려진 곤충 종이 약 100만종이나 되지만, 여전히 상상을 초월하는 예상치 못한 화석이 많다”고 밝혔다.다만 그는 말벌의 복부 구조가 토양에서 먹이를 감지하거나 다른 말벌을 운반하는 데 쓰였을 가능성도 있다고 덧붙였다.

김성은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1 / 5
1 / 3
광고삭제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