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세상] 화가 권옥연의 그림과 박물관의 꿈/이종수 연세대 행정대학원장
수정 2023-12-19 01:06
입력 2023-12-19 01:06
헐린 고택 옮겨 민간 박물관 만들고팠던
근현대미술 거장 권옥연의 못다 이룬 꿈
거래 묶인 남양주 궁집에 지금도 쓸쓸히
그의 탄생 100주년 기념전이 화랑에서 열려 오랜만에 화가의 그림 앞에 섰다. 그림은 여전히 고독과 그리움으로 가득했다. 화단의 후배들이 ‘권옥연 그레이’라 부르는 인디고 그레이, 블루 그레이 색깔이 여전했다.
함흥에서 태어난 그는 격변의 시대를 살았다. 김정희 선생이 유배를 올 때면 그의 할아버지에게 와서 유숙하고 갔을 정도였으나 부친이 일찍 세상을 뜨자 집이 기울었다. 청년 시절 일본 경찰에 끌려가 고문을 당했는데, 고문을 하던 사람이 정작 조선인이어서 그것이 괴로웠다. 그러면서도 훗날 일본으로 유학을 가야 했던 삶의 딜레마. 파리로 유학을 갔을 때 20세기 전반 회화를 이끌던 조르주 루오가 사망(1958년)하자 그의 장례를 국장으로 치러 주던 프랑스 문화에서 받았던 충격.
그는 자신의 톤으로 그림을 그렸다. “팔레트에 짜 놓은 원색 물감을 보면 나는 거부감을 느낄 때가 있어. 어떤 때는 무섭기도 해. 그것들을 반죽해 나의 색을 만드는 거지.” 그가 ‘올해의 미술가’로 선정돼 덕수궁에서 전시회가 열렸을 때 학생 몇 명과 관람을 하러 간 적이 있다. 전시된 그림 다수에 서명이 없는 것을 보고 학생이 이유를 물었다.
“그림은 색과 형태로 누구의 그림인지 금방 알 수가 있어. 서명이 왜 필요하지?” 나도 그에게 이렇게 물은 적이 있다. 이화여대 회화과에서 교수를 하다 그만두었기에 그 이유를 물었던 것이다. 그의 답은 그다웠다. “강의실에서 해마다 똑같은 얘기를 반복할 수가 없었어.”
한 번은 그를 강의에 초청한 적이 있었다. 사회 연구와 정부의 정책에도 정체성이 필요한지, 그게 무엇인지 말해 달라는 요청이었다. 그는 이런 얘기를 했다. “내 친구 중 일본에서 제일가는 화가가 있었어. 그 친구와 오래 가깝게 지냈는데, 그가 매년 서울에 오면 호텔을 마다하고 교동초등학교 옆 백 년이 넘은 여관에 묵었어. 여관 안주인과 셋이 화투를 치며 지내다 돌아가곤 했는데 어느 해 전화가 왔어. ‘내가 너희 나라를 다시는 가지 않을 생각이다. 올해 서울에 가려고 여관에 전화를 했더니 백 년 넘은 집을 재개발로 허문다고 하더라. 어떻게 그럴 수가 있느냐’고 하더라.” 우리는 지금 이런 사회 연구와 도시 재개발 정책을 강행하고 있는 것이라고 그는 말하고 싶어 하는 듯했다.
그에게 가장 큰 기쁨이자 통증은 남양주 궁집이었다. 조선 21대 영조 임금의 막내딸 화길 옹주가 살았던 남양주 집이 매물로 나와 술집으로 개조될 거라는 소문을 듣고 매입했다. 이때부터 그는 전국에서 고택이 헐린다는 소식을 들으면 달려가서 매입해 남양주로 이전 복원했다. 신정왕후 조씨의 친정집, 강감찬 장군 유적지의 서당, 친일파 송병준의 가옥 등 일곱 채를 복원해 기와와 석물이 산더미처럼 쌓였다. 순수 민간 박물관을 만들어 사람들에게 되돌려주고 싶은 게 그의 꿈이었다.
그러나 궁집 근처를 거래 불가능 지역으로 행정당국이 지정하면서 민간 박물관의 꿈은 무너졌다. 운영비조차 충당할 수 없었고 트럭을 몰고 온 도둑들이 그림과 전시물을 훔쳐 가는 바람에 문을 닫았다. 결국 민립 박물관의 꿈을 포기하고 시청에 모든 걸 넘길 즈음 그의 통장에는 한 푼의 잔고도 없었다. 돈으로 환산할 수 없는 문화재를 제외하고도 그가 기부한 평내동 터는 시가로 2000억원 수준이다. 연초에는 그가 남긴 궁집 박물관을 가봐야겠다.
2023-12-19 26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