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영유와 일유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황비웅 기자
황비웅 기자
수정 2024-08-23 03:24
입력 2024-08-23 03:24
이미지 확대


얼마 전 프랑스 파리올림픽이 한창일 때다. 이제 여섯 살 난 둘째 아들의 입에서 “오륜기”라는 말이 튀어나왔다. 오륜기 색깔이 뭘 뜻하는지 아느냐고 물었더니 오세아니아, 아프리카, 유럽, 아메리카, 아시아라는 대륙 이름이 줄줄이 나온다. 평소 잘 쓰지도 않는 오세아니아라는 단어를 유치원생에게서 들을 줄은 몰랐다. 유치원에서 올림픽의 역사 등에 대해 배웠다는 것이다.

유치원 교육의 수준이 이 정도일 줄이야. 이뿐만이 아니다. 등하교 시 학부모와 선생님에게 꼬박꼬박 인사하는 습관도 길러 준다. 5~6세 아이를 가진 학부모라면 영유(영어유치원)와 일유(일반유치원) 사이에서 고민해 본 적이 있을 것이다. 영유에선 누리과정(취학 전 아동을 대상으로 한 공통 보육·교육과정)을 진행한다고 홍보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영유 교사인 지인에게 물어보니 그게 아니란다. 일유처럼 예절·인성 교육까지 포함한 체계적인 누리과정은 하기 어렵다고 했다. 영유의 원어민 강사들이 인성교육까지 담당할 수 있을까. 영어 욕심으로 고액의 영유를 보내려다 더 중요한 것을 놓치는 것은 아닐까.

황비웅 논설위원
2024-08-23 3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1 / 5
1 / 3
광고삭제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