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은귀의 詩와 視線] 어떤 기다림/한국외대 영문학과 교수
수정 2023-06-21 00:53
입력 2023-06-21 00:53

하얀 열기.
초록 강.
다리,
8월 내내 꼬박꼬박 졸고 있는
여름잠 자는 집에서
그을린 노란 야자나무들.
내가 붙잡았던 날들,
내가 잃어버린 날들,
딸들처럼, 웃자란 날들,
내가 안고 있는 팔들.
―데릭 월컷, ‘토바고에서의 한여름
어린 날 세계지도를 펼쳐 놓고 먼 나라의 수도를 찾는 놀이를 하곤 했다. 가보지 못한 나라를 상상하며 종이 위의 어떤 낯선 이름을 말하면 이름을 달싹이는 행위가 그 먼 나라를 가까운 경험으로 당기는 듯 괜히 신났다. 지금은 종이 지도 대신 구글 맵으로 세세한 거리 풍경까지 볼 수 있지만 그 옛날 종이 지도만큼 무성한 상상력을 주지는 않는다. 폭염주의보로 한여름이 앞당겨 선언된 날 땡볕 아래 걷다가 이 시를 떠올렸다.
데릭 월컷은 1992년 노벨문학상을 탄 세인트루시아의 시인이다. 세인트루시아는 중앙아메리카 카리브해에 있는 조그마한 섬나라다. 점점이 떠 있는 카리브해 섬나라 중에 토바고도 있다. 트리니다드토바고 나라, 세인트루시아와 베네수엘라 사이에 있다. 아마 월컷은 이 섬에서 보낸 시절의 기억이 있을 것이다. 시인은 “햇볕 달구어진 너른 해변”을 시의 시작 지점에 한 줄로 배치한 후 그 섬에서의 기억들을 간명하게 두 줄씩 살려 낸다.
하얀 열기와 초록 강, 흰 백사장 작열하는 빛과 카리브해의 청록색 물빛. 한가한 다리와 집들, 늘어진 야자나무들. 그 풍경을 직접 보지 못해도 우리는 이 시를 통해 각자가 품고 있는 한여름의 기억을 소환한다. 그 기억 속에서 우리 각자는 붙잡았다 놓친 날들을 떠올린다. 그 시절을 ‘화양연화’(花樣年華)라고 하는가? 아마도 그럴 것이다. 그 시절은 너무 빨리 지나간 달콤한 시간, “딸들처럼, 웃자란 날들”이다. 직유(simile)에 해당되는 ‘딸들처럼’이란 표현을 쓰지만, 눈에 넣어도 아프지 않을 것처럼 꼬물꼬물 귀엽던 아가들이 어느새 쑥 자라 내 품을 떠나는 시간의 마법을 생각하면 이 구절은 빗대는 말 이상으로 충분히 아름답고 아프다.
시 마지막 연의 배치가 절묘하다. 풀어서 쓰면 ‘마치 딸들처럼 내가 안고 있는 팔보다 커져서 더는 맞지 않는 날들’이란 뜻이지만 마지막 행은 여전히 내가 그날들을 놓지 못하고 있음을 말한다. 다 커 버린 딸을 놓지 못하는 아비처럼. 지났지만 지나지 않은 노스탤지어의 시간이다. 시인은 그 시간을 기꺼이 품는다. 항구(harbor)가 배를 안듯이. 이렇게 시는 향수(鄕愁)를 불투명하고 무의미한 과거가 아니라 지금의 현재를 다시 살게 하는 힘으로, 미래형의 기다림으로 끌어당긴다. 붙잡았다 놓친 날들, 그 소슬한 아픔이 새로운 기다림으로 여며진다. 올여름의 인생 공부를 초대하는 시의 시선, 시의 힘이다.
2023-06-21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