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준수의 열린의학] 자살은 극단적 ‘선택’이 아니다/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수정 2023-04-28 02:36
입력 2023-04-28 02:36
어느 것과도 바꿀 수 없는 최고 가치인 생명을 스스로 포기하는 일이 이렇게 쉽게 일어나는가? 당사자가 죽음을 쉽게 생각한 것은 아닐 것이고, 사는 것보다 죽는 것이 낫다고 판단했을 것이다. 전세사기를 당해 거리로 나앉는 형편의 막막함과 절망감은 그 자신이 아니고는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다. 유명인이 느끼는 스트레스 또한 만만치 않을 것이다. 대중이 기대하는 모습을 끊임없이 보여줘야 한다는 중압감, 인기를 유지해야 한다는 강박감, 화려한 무대가 끝나고 느끼는 허무감 등 일반인들은 알지 못할 엄청난 스트레스에 시달릴 것이다.
스트레스를 받으면 스트레스 반응 시스템인 뇌의 시상-뇌하수체-부신축이 활성화되며, 부신피질에서 ‘코티졸’이라는 스트레스 호르몬이 분비된다. 오랜 기간 동안 이 축이 활성화되면 코티졸 수치가 높아진다. 높은 코티졸 수치는 몸의 조직을 파괴하고, 시상-뇌하수체-부신축의 기능을 망가뜨려 이와 관련된 기능이 변한다.
청소년기의 자살은 뇌와 더욱 관련이 깊다. 억제력을 관장하는 전두엽 발달이 완성되기 전이며, 충동이나 욕망 등과 관련된 피질하 구조들의 과잉작용이 빈번하게 일어난다. 즉 청소년들은 성인에 비해 뇌의 억제 능력이 부족해 충동적 행동을 하기 쉽다. 충동성이 높으면 스트레스 상황에서 자살 유혹에 취약하다고 알려져 있다. 어떤 상황이라도 자살을 정당화할 수는 없지만, 자살자들은 스트레스 상황에서 반응 시스템인 시상-뇌하수체-부신축의 기능이 깨지게 되고, 여기에 충동성이 더해져 극단적 선택에 이른다고 할 수 있다.
이들의 극단적인 선택은 어떻게 막을 수 있을까? 최근 일부 회사가 직원들의 정신건강을 관리하기 위해 정신건강의학과 의사 혹은 임상심리 전문가들을 고용하고 있는데, 이는 더 많은 회사가 실행해야 한다. 초중고 교과과정에 정신건강 관련 내용을 넣어 어릴 때부터 학생들에게 정확한 지식과 생명 존중, 스트레스 대처 방안 등을 배우게 하는 것도 필요하다. 이런 교육을 받은 학생들은 훗날 인생을 살면서도 정신건강의 중요성을 알고 관리하며 건강한 삶을 살아갈 것이다. 휴대전화 앱이나 인공지능(AI)을 통해 실시간 대응하는 디지털 시스템의 활용은 순간적인 극단적 선택을 막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자살의 완곡한 표현으로 ‘극단적 선택’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이 용어는 자살이 힘든 상황에서 내릴 수 있는 선택지 중 하나라는 느낌을 줄 수 있다. 자살하는 사람은 ‘선택’을 하는 것이 아니다. 자살은 스트레스 상황에서 뇌와 몸의 반응 변화에 의해 어쩔 수 없이 나타나는 현상일 수도 있다. 개인의 선택이라는 관점은 틀릴 수 있음을 진지하게 고민해 봐야 한다.
2023-04-28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