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가에 가서 엄마의 옷장을 열어 보고는 깜짝 놀랐다. 수납 칸이 전부 다 현란하게 반짝이는 옷으로 가득했기 때문이었다. 장롱의 고요한 어둠을 뚫고 제각각의 색으로 요란하게 빛나는 옷들을 보자마자 비명처럼 엄마를 불러 댔다. “엄마, 배고파” 할 때보다 큰 소리였다.
주민센터에서 하는 난타 팀의 의상이라고 했다. 저 핫핑크 상의는 ‘도 대회’ 출전 때 입었고, 이 주황색은 광천 새우젓 축제에서 초청 공연을 할 적에 잠시 ‘걸친’ 무대 의상이고. 홍성군의 초청으로 문화회관에서 공연할 적에는 옷들을 일부러 뒤집어 입고도 나갔다고도.
엄마가 뿌듯한 얼굴로 힘주어 이야기하는 난타 팀의 활약상은 의상들의 색보다도 화려했다. 잠자코 듣던 아빠가 휴대폰을 열어 직접 찍어 온 난타 공연 영상을 보여 주었다. 엄마가 어딨느냐고 물어봤더니 “니 엄마도 못 찾느냐”는 말이 돌아왔다.
삼십 년 넘게 미용실을 운영하는 엄마가 일 끝난 저녁마다 영어와 컴퓨터, 요가를 비롯한 여러 프로그램을 배우러 주민센터에 다니는 것은 익히 알았지만 난타까지 하는 줄은 몰랐다.
‘도 대회’까지 나간 광천 주민센터 난타 팀이 지역 축제 때마다 이곳저곳으로 초청돼 공연을 다니는 중이라고도 했다.
되짚어 보니 몇 번이나 ‘공연하러 간다’는 말을 들은 기억이 났다. 나는 엄마가 무슨 공연을 ‘보러 간다’고 여겼지 ‘하러 간다’고 생각하지는 않았다. 그런데 엄마가 무대에서 저 옷들을 입고 북채를 휘두르고 있을 줄이야.
대체 얼마나 많은 연습을 했으면 평범하기 그지없던 엄마들이 프로페셔널한 의상을 갖춰 입고 무대에서 저렇게까지 하나가 되나. 내친김에 난타 팀의 리더인 이필순 회장님과 전화 연결을 해 보았다. 광천 총부녀회장 출신으로 여기저기에서 찾는 이가 많고 봉사하러 다니는 일도 부지기수여서 얼굴을 제대로 보기 힘들다는 회장님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