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불확실성에 원달러 불안… “1500원 갈 것”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김지애 기자
수정 2025-03-31 01:35
입력 2025-03-30 19:53

개인 고객 달러 매도액 17% 감소
환율 상승세 기대감에 관망 심리
주요국 절상 속 원화 나홀로 약세

미국의 상호관세 발표와 윤석열 대통령 탄핵 선고 등 대내외 불확실성에 환율 변동성이 커지고 있다. 올 1분기 원달러 환율 평균이 외환위기 이후 최고 수준으로 치솟은 가운데 머지않아 환율이 1500원대까지 오를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30일 국내 4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에 따르면 최근 18일간(3월 10~27일) 개인 고객(개인사업자 제외)이 달러 현찰을 원화로 환전한 달러 매도 금액은 5689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2024년 3월 11~28일 6827만 달러)보다 17% 감소했다. 통상 환율이 오르면 환율 차익을 노리고 달러를 매도하는 게 일반적인데 최근 1년간 환율이 계속 치솟은 상태에서도 환전 수요는 오히려 줄어든 것이다. 향후 환율이 더 오를 수 있다는 기대감에 개인들이 달러를 팔기보다는 환율 추이를 관망하는 심리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원달러 환율은 계속 오름세다. 미 대선 전인 지난해 11월 초만 해도 서울 외환시장에서 1370원대에 머물렀던 원달러 환율(주간 거래 종가 기준)은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당선된 직후인 11월 6일 1390원대로 올랐다. 국내에서 비상계엄 사태가 일어난 뒤인 12월 4일에는 1410원대로 급등했다. 이후 1400원대 중반까지 치솟은 환율은 올 들어 지난 21일 이후 28일까지 6거래일 연속 1460원대를 기록하고 있으며 장중 1470원도 터치했다.

지난 28일까지 환율 평균은 1452원으로 아직 31일 하루가 남았지만 올해 1분기 평균 환율은 1450원이 넘을 것이 확실시된다. 이는 분기 평균 기준으로 외환위기 시기였던 1998년 1분기(1596.9원) 이후 최고 수준이다.

문제는 트럼프 정부의 관세정책 우려가 커지고 국내 정치적 불확실성이 확대되며 시장에서는 환율이 1500원도 돌파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는 점이다. 전규연 하나증권 연구원은 최근 보고서에서 “원달러 환율은 2분기까지 달러 강세 기조에 연동해 오름세를 유지할 것이며, 불확실성이 확대되면 상단은 1500원 내외로 높아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달러 약세가 나타나는 가운데 주요국 통화들이 일제히 평가절상되는 가운데서도 원화는 ‘나홀로 약세’가 두드러지고 있다. 외국산 자동차에 25% 관세를 부과하기로 하는 등 우리 경제가 트럼프 관세의 직격탄을 맞을 우려가 크기 때문이다. 박상현 iM증권 연구원은 “트럼프 정부 관세정책 등에 따라 환율이 1500원 선을 일시적으로 돌파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김지애 기자
2025-03-31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1 / 5
1 / 3
광고삭제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