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값 양극화 심화…상위 20% 1채면 하위 5.5채 산다

하종훈 기자
수정 2024-12-03 14:47
입력 2024-12-03 14:47
KB 5분위 배율 5.5로 역대 최대
전국도 10.9로 역대 최대 격차
인기 지역 고가 아파트 가격 상승

서울신문 DB
집값 양극화가 심화하며 서울 아파트 가격 상위 20%와 하위 20%의 격차가 역대 최고 수준으로 벌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똘똘한 한 채’ 선호 현상으로 인기 지역의 고가 아파트 가격 상승 폭이 더 커진 탓으로 보인다.
3일 KB국민은행의 월간 주택 시계열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지역 아파트값 5분위 배율은 5.5로, 2008년 12월 통계 조사 이래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5분위 배율은 주택가격 상위 20% 평균(5분위)을 하위 20% 평균(1분위)으로 나눈 값으로, 고가주택과 저가 주택 간의 가격 격차를 나타내는 지표다. 5분위 배율이 5.5라는 것은 상위 20% 아파트 1채 가격으로 하위 20% 아파트를 평균 5.5채 살 수 있다는 의미와도 같다.
서울 아파트 5분위 배율은 2022년 12월 4.5에서 올해 4월 5.0으로 확대된 뒤 지난 9월에는 5.4를 기록했고, 지난달에 5.5배로 격차가 커졌다. 이는 인기지역 고가 아파트 위주로 가격이 크게 오르면서 고가와 저가 아파트 간의 양극화가 더욱 심화한 것이다.
지난달 서울 아파트 1분위(하위 20%) 가격 평균은 4억 9061만원, 5분위(상위 20%) 평균은 26억 8774만원으로, 1분위 아파트는 전월(4억 9011만원)보다 0.11% 오른 데 비해 5분위 아파트는 전월(26억 5117만원) 대비 1.38% 상승했다. 실제로 지난달 서울 강남구 대치동 래미안대치팰리스 114.15㎡는 3개월 만에 이전 최고가 대비 3억 7000만원 오른 52억 5000만원에 거래됐다.
범위를 전국으로 확대하면 전국 아파트 5분위 배율은 10.9로 역대 최대 격차를 이어갔다. 상위 20% 아파트 1채로 하위 20% 아파트를 11채 가까이 살 수 있는 셈이다. 지방 아파트값 하락 여파로 지난달 전국 기준 1분위 평균가는 1억 1672만원을 기록하며 전월(1억 1683만원)보다 0.1%가량 떨어졌으나, 5분위 평균가는 12억 7623만원으로 전월(12만 6829만원)보다 0.6% 상승했다.
박원갑 KB부동산 수석전문위원은 “소득과 자산의 양극화가 심화하고 ‘똘똘한 한 채’의 필요성이 부각되면서 자산증식을 위해 상가보다 고가 아파트에 쏠리는 현상이 심화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하종훈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