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대출·예금금리 2%대로 하락… 예대금리차 6개월 연속 확대

김예슬 기자
수정 2025-03-28 14:45
입력 2025-03-28 14:45

시장 금리 하락기가 이어지는 가운데 지난달 은행권 수신 금리가 2%대로 떨어졌다. 대출 금리도 석 달 연속 내렸지만, 예금 금리가 그보다 빠르게 떨어지면서 예대금리차는 6개월 연속 벌어졌다.
한국은행이 28일 발표한 ‘2월 금융기관 가중평균 금리’에 따르면 지난달 예금은행의 저축성수신 금리(신규취급액 기준)는 연 2.97%로, 전월 대비 0.1% 포인트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지난해 10월(3.37%) 이후 5개월 연속 하락세다. 정기예금을 중심으로 순수저축성예금 금리는 0.11% 포인트 하락했고, 금융채·CD 등 시장형 금융상품도 0.07% 포인트 내렸다.
지난달 예금은행이 새로 취급한 가계대출 가중평균 금리는 연 4.52%로 전월 대비 0.13% 포인트 하락했다. 전세자금대출, 일반신용대출을 중심으로 지난해 12월 이후 3개월 연속 하락세다. 이는 기준 금리 인하에 따른 영향으로 지표금리인 은행채와 코픽스가 하락한 데 따른 것이다.
지난달 연 4.27%로 반등했던 주택담보대출(주담대) 금리는 연 4.23%로, 전월 대비 0.04% 포인트 하락했다. 주담대 금리는 지난해 8월(3.51%)부터 11월까지 상승세를 기록하다가, 일부 은행들이 가산 금리를 인하한 영향으로 지난해 12월 하락 전환한 바 있다. 이후 한 달 만에 다시 금리가 올랐지만, 이번에 다시 내린 것이다. 김민수 한은 경제통계1국 금융통계팀장은 “보금자리론 금리가 2월 들어 0.3% 포인트 인하된 점에 주로 기인했다”고 설명했다.
은행의 수익 기반인 예대금리차는 1.49% 포인트로 0.03% 포인트 확대됐다. 지난해 9월(1.22% 포인트)부터 6개월 연속 벌어졌다. 다만 신규 취급이 아닌 기존 잔액 기준 예대금리차는 2.28% 포인트에서 0.04% 포인트 축소됐다. 이에 대해 김 팀장은 “기준 금리 인하 영향으로 잔액 기준 예대금리차는 지난해 말부터 줄고 있다”며 “신규 취급도 1월 중순 이후 은행이 가산 금리를 인하한 데 따라 시차를 두고 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김예슬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