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산’ 이름값에 밀려… 제값 못 받는 군산 홍어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임송학 기자
임송학 기자
수정 2024-07-24 00:32
입력 2024-07-24 00:32

전북, 작년 1365t 잡아 전남 앞서
명성 차이 커서 가격은 25% 격차

이미지 확대
홍어
홍어
기후변화로 홍어 주산지가 전남 흑산도에서 전북 군산으로 바뀌었으나 군산 홍어는 가격을 제대로 받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북 어민들은 전남보다 많은 홍어를 잡지만 실질 소득은 낮아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전북도는 우리나라에서 홍어가 가장 많이 잡히는 수역이 군산 어청도 근해라고 23일 밝혔다. 해양수산부가 이달부터 내년 6월까지 1년 어기 동안 각 시도에 배정한 참홍어 총허용어획량도 전북이 1365t으로 전남 817t보다 548t이나 많다. 이어 충남 755t, 인천 310t, 경남 93t, 제주 21t 순이다.

그러나 군산 홍어 가격은 전남산을 따라잡지 못한다. 지난해 전북 어민들은 1489t의 홍어를 잡아 100억 4600만원을 벌었다. 반면 전남 어민들은 1224t을 잡아 103억 3600만원의 수입을 올렸다. 전북보다 어획량은 265t 적지만 수입은 2억 9000만원 많았다.

이는 군산 홍어의 가격이 낮기 때문이다. 지난해 군산 홍어의 ㎏당 가격은 6746원인데 전남 홍어는 8444원을 기록했다. 군산 홍어보다 1698원, 25% 높은 가격을 받았다.

더구나 군산 홍어 가격은 인천 홍어 8187원보다 1441원 낮고, 전국 평균 7564원보다 818원 싸게 받았다. 전국에서 가장 싼 홍어는 충남산으로 ㎏당 5233원에 그쳤다.

전북산 홍어 가격이 싼 이유는 흑산도 홍어의 오랜 명성을 따라잡지 못하기 때문이다. 위판장과 수산물 저장시설 현대화, 지역특화 브랜드 육성과 신상품 개발도 뒤져 있다.

흑산도 어민들은 2009년부터 수산물 이력제를 도입해 흑산도 홍어의 부가가치를 높였다. 흑산 홍어잡이는 2020년 국가 중요 어업 유산으로 지정됐다.

전주 임송학 기자
2024-07-24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