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내리사랑 치사랑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황비웅 기자
황비웅 기자
수정 2024-05-23 23:58
입력 2024-05-23 23:58
이미지 확대
회사에서 퇴근하고 집에 가더라도 종종 일이 있어 방에 처박혀 있을 때가 있다. 식구들은 집에 있더라도 방문을 열고 들여다보는 일이 거의 없다. 그런데 언제부턴가 여섯 살 난 둘째 아들이 방문을 열고 들여다보기 시작했다. 어떨 땐 자기가 좋아하는 과자를 들고 와 놓고 가기도 하고, 장난감을 들고 와 자랑하기도 한다. 가끔은 만면에 함박웃음을 띠고 들어와 무릎에 앉기도 한다. “왜 왔어?”라고 물으면 “아빠 보고 싶어서”라고 한다.

내리사랑은 있어도 치사랑은 없다는 말이 있다. 부모가 자식을 사랑하는 것은 자연스럽지만, 자식이 부모를 사랑하기는 어렵다는 속담이다. 둘째가 내게 주는 사랑은 분명 치사랑인데 말이다. 자식은 부모를 힘들고 지치게 하기도 하지만, 때로는 아무 조건 없는 사랑을 주기도 한다. 가정의달을 맞아 연로하신 부모님에 대한 치사랑이 너무도 부족함을 새삼 실감한다. 부족한 부모 밑에서도 여섯 살 난 둘째의 때 묻지 않은 치사랑을 보면서 오늘도 많이 배운다.

황비웅 논설위원
2024-05-24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